안녕하세요 ROXAN이 왔씁니다!
오늘은 21세기 최고의 금융상품이라는 ETF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투자하면 머리 속에 바로 떠오르는 그 이름, 바로 워렌 버핏 형님인데요.
워렌 버핏 형님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 내가 죽으면, 내 자산의 10%는 국채에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S&P 500 인덱스 펀드(ETF)에 투자하라"고 아내에게 유언을 미리 남겼다고 합니다.
도대체 ETF가 뭐길래 워렌버핏이 자산의 90%를 투자하라고 했을까요?
ETF란?
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우리나라 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도 합니다.
하... '인덱스 펀드"는 또 뭔가 싶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실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원숭이, 펀드매니저, 아마추어 투자자가 10개월 동안 주식투자 수익률 게임을 한 것인데요, 펀드매니저와 아마추어투자자는 기술적 분석과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대상을 선정한 반면, 원숭이는 신문기사에 실린 주식시세표에 다트를 던져 종목을 찍었습니다.
이 게임의 승리자는 누구였을까요?
바로 원숭이였습니다.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투자자들의 손실률이 원숭이보다 약 6배나 높게 나온 것입니다.
위 실험은 인덱스 펀드를 잘 설명해주는 사례인데요, 주식시장이 잘만 돌아가면(주식시장 자체의 가치가 상승하면) 아무리 똑똑한 펀드매니저라도 시장의 상승률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없다는 의미이고, 이러한 관점에서 만들어진 게 인덱스 펀드입니다.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추세에 투자하려는 목적을 가진 펀드가 바로 인덱스펀드죠.
다시 ETF로 넘어가서, "ETF = 주식+펀드"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투자의 안목이 떨어지는 개인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죠.
ETF는 '무슨 주식이 오를지 몰라 다 조금씩 담아보았다'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이러한 ETF 상품의 특징으로 인해 투자의 원칙이라고 하는 분산투자 / 간접투자 / 저비용투자 / 장기투자가 한 번에 가능하게 된다고 하네요. 그 지키기 어렵다는 투자의 원칙을.... ETF가 해냅니다! : )
네이버에 ETF라고 검색을 하시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ETF 리스트의 가장 위에 있는 KODEX 200을 예로 들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KODEX는 해당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를 표시합니다.
KODEX는 삼성자산운용, TIGER는 미래에셋, ARIRANG는 한화, KB STAR는 KB에서 운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운용사들만의 시그니쳐 사인이라고 할 수 있겠죠?)
200은 선물 및 옵션거래에 적합하도록 KOSPI에 상장된 전체 종목 중에서 시장대표성, 업종대표성 및 유동성 등을 감안하여 선정된 200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1. ETF는 무슨 주식이 오를지 몰라 다 조금씩 때려담은 금융상품이다.
2. 근데 펀드처럼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없는게 아니라,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소에서 바로 거래가 가능하다.
ETF의 개념에 대해서 이제 조금 느낌이 오시나요?
그렇다면, ETF 투자의 장점을 알아볼까요?
ETF투자의 장점
1. 분산 & 소액 & 저비용 투자
1주만 보유하더라도 각 ETF 상품의 구성 종목들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가 있어 변동성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지수를 추종하게끔 시스템으로 세팅되어 있어서 인건비가 들지 않아서 다른 펀드들보다 운용 보수가 저렴합니다.
(ETF를 매도할 때는 일반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거래세(0.3%)가 면제되어 거래비용도 낮음)
2. 거래의 용이성 & 투명성
국내 주식형 펀드는 환매 청구 후 3~4일 뒤에 현금을 인출할 수 있고, 해외펀드는 1주일 전후가 소요됩니다. 그러나 ETF는 주식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조회 및 거래가 용이합니다. (환매 후 2일 정도 소요)
그리고, ETF의 구성종목과 각 종목의 보유 비중, 보유 수량, 가격 등이 실시간으로 공개되기 때문에 투자 내용을 인지하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ETF 투자시 유의할 점
ETF는 사실 단점이라고 할 만한 것이 잘 없습니다. 그래서 20세기 최고의 금융상품이라고 불리는 이유죠.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투자의 4대 원칙인 분산투자 / 간접투자 / 저비용투자 / 장기투자를 가능하게끔 만들어주지만 그래도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원금 손실에 대한 가능성이 제로인 것은 절대 아닙니다. 그 점을 항시 유의하시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ETF는 단기 투자가 아닌 장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라는 점도 유의하세요!
자, 오늘은 ETF 투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ETF는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꼭 맞는 BEST 투자상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곧 S&P 500 ETF에 투자할 생각이에요 :)
그럼 우리 모두 부자되는 상상하면서, 좋은 하루 보내세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정기예금보다 나은 저금리 시대의 해법 (0) | 2020.04.04 |
---|---|
[뮤지코인] 소액으로 시작하는 저작권 투자 (0) | 2020.03.27 |